교육정보

입시뉴스

2025.01.15 14:18
서울시교육청, 2024 서울 학생 문해력·수리력 진단검사 결과 발표

지난 14일, 서울시교육청에서는 '2024 서울 학생 문해력·수리력 진단검사' 시행 결과를 발표했다.

 

서울 학생 문해력·수리력 진단검사란?

미래 학력 및 여러 교과 학습의 기반이 되는 범교과적이며 도구적 기능을 갖는 기초소양으로서의 문해력과 수리력을 진단하는 검사도구로 서울시교육청에서 개발하였다. 2023년 11월 전국 최초로 시행하였으며, 2023년에는 210교 약 44,000명이 실시하였고, 2024년에는 524교 약 94,000명으로 확대 운영되었다.(*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는 검사 아님, 학생의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로 다른 학생과 비교를 위한 것이 아님)

 

검사 대상은?

표집학교와 희망학교의 초등학교 4학년, 6학년, 중학교 2학년,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 총 94,000여명의 학생이 검사 실시

  - 서울시 초중고 524교(초 343교, 중 120교, 고 57교, 각종학교 등 4교)

  - 서울시교육청 관내 초4, 초6, 중2, 고1 학년 전체 학생 수 대비 약 35%

 

언제 시행했나?

2024년 11월 4일(월) ~ 7일(목) 중 학교에서 정한 날짜와 시간에 실시

 

진단검사 형태는?

문항수: 문해력, 수리력 문항수는 학년에 따라 각각 38~46문항으로 구성(5지 선다형)

시간: 문해력, 수리력 각 초등 80분, 중등 90분, 고등 100분

방식: 오프라인 검사

 

진단검사 결과는?

 - 1~4까지 총 4개의 수준으로 구분

   * 1수준(기초 수준 미도달), 2수준(기초 수준), 3수준(보통 수준 이상), 4수준(우수한 수준)

 - 점수는 1,000점~2,000점(학년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범위가 다름)

  * 보고서 상의 점수는 해당 학년에서 받을 수있는 척도점수를 나타낸 것으로

  평균적으로 점수는 저학년일수록 낮고 고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남

 

 - 2024년에는 초4~고1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해력과 수리력 꾸준히 향상

 - 문해력의 경우 상승폭이 일정한 데에 반해, 수리력은 중2~고1로 올라가면서 평균의 향상폭이 다소 둔화

 - 2023년 대비 문해력은 초6~고1의 평균 척도점수가 높게 나타났고, 수리력의 경우 초등학생의 평균 척도점수는 낮으나

  중2와 고1의 평균 척도 점수는 높음

 

 - 문해력1수준(기초 수준 미도달) 비율과, 4수준(우수한 수준)의 비율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

 - 수리력학년이 올라갈수록 1수준(기초 수준 미도달)은 증가하나, 4수준(우수한 수준)은 중2, 고1로 올라갈수록 감소

 - 대체적으로 문해력보다 수리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며, 고1의 경우 보통 수준이하(1~2수준)의 비율이 41.3%로 가장 높음